등록 2007-09-10 수정 2015-02-24 조회 22619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전남 고흥군 전남 고흥군의 홈페이지, 연락처, 이용정보, 위치(지도)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라남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순천만과 득량만 사이에 돌출한 반도와 부속도서(유인도 21, 무인도 154)로 이루어졌다. 동쪽은 순천만을 건너 여수시, 서쪽은 득량만을 건너 보성군, 장흥군, 완도군과 마주보며 남쪽은 제주해협에 접해 있고, 북쪽은 보성군과 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776.32㎢이고 총인구가 69,532명(2015년 1월 기준)에 이르며 2읍 14면 516마을에 군청 소재지는 고흥읍 옥하리이다.
* 자연환경
고흥반도와 벌교읍간의 지협(너비 2㎞, 높이 100m) 사이로 소백산맥 줄기가 뻗어 내려와서 대부분이 500m 내외의 낮은 구릉을 이루고 있다. 동쪽에 팔영산, 중앙에 운암산,
서남쪽에 조계산, 천등산, 남쪽에 마복산 등이 있어 북동쪽이 높고 남서쪽이 낮다. 이
지역은 특히 해안선을 따라 개펄막이를 해서 만든 간척지가 많다.
* 역사
고대 -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역에 들어간 후 분차군(낙안)의 영역에 속하였고, 비사현
(지금의 동강), 조조례현(지금의 남양), 두힐현(지금의 두원) 등의 여러 현이 있었다.
고려 - 처음에는 장흥부에 속한 묘부곡과 보성군의 타주부곡,식촌부곡,도량부곡 및 보성군의 속현인 태강현(지금의 동강), 남양현(지금의 남양), 두원현(지금의 두원) 등의
여러 행정 단위가 존재하였다. 1285 년(충렬왕11)에는 고이부곡(묘부곡)을 고흥현으로
승격시켰고 비로소 감무를 두게 되었으며, 보성군의 식촌부곡과 장흥부의 도량부곡을
거느리게 되었다.
조선 - 1441년에 장흥부의 속현인 두원현으로 다시 옮겨갔다가 보성군의 남양현 및 동강, 풍양, 도화 등의 제현을 편입시켜 고흥과 남양의 이름을 따라 흥양현이라 개정하였다.
근대 -1895년(고종 32) 흥양군으로 되어 13개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흥양에서 다시
고흥군으로 개칭되었고 완도군에 소속된 득량도와 돌산군 소속의 금산, 봉래, 옥정 등의 면을 편입하여 13면 132동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현대 - 1973년 7월 도양면이 도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5월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되었다.
* 유적.유물
1관 4포
전라좌수영 산하의 5관 5포 가운데(5관 : 순천, 낙안, 보성, 광양, 흥양, 5포 : 사도, 여도, 녹도, 발포, 방답) 고흥군에 1관 4포가 있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수군의 군사 요충지로서 매우 귀중한 역사적 배경을 안고 있는 지역으로 성곽의 완전 복원시 역사문화유적 순례지로 수많은 관광객이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충무공 유적지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에 위치하고 있는 발포진만호성은 선조 13년 이순신장군이 36세
때 발포만호로 부임하여 18개월동안 재임했던 곳이며, 여수시 선소 유적과 함께 좌수영산하의 수군기지였으며, 이곳에 지난 1976년 이충무공 유적지 복원사업에 의해 충무사가 건립되어 매년 봉충회에서 이 충무공 탄신일에 다례제를 지내 그 업적을 기리고 있다.
* 문화
매구굿
정초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굿으로 농기를 앞세우고 상쇠,징,북,포수,화동,양반 광대 각 1명과 소고 5명으로 편성된 무리가 당산제 끝난 후 마을 공동 우물등을 거쳐 집집마다 돌면서 굿거리를 치는 농악이다. 이것을 매구친다고 하며, 매구꾼들이 집에 오면 주부들은 음식을 대접하고 또 곡식을 내놓아 마을 공동경비로 쓰게 하기도 한다.
월포문굿
남도 농악은 연행방식, 복식, 음악성 등을 기준으로 볼때 '좌도굿','우도굿', '도서해안굿' 으로 분류할수 있는데 월포농악은 '도서해안굿'으로서 특징은 당제와 관련된 종교성이 강한 농악이라는 점이다.
한적 들노래
전남의 들노래는 음악적 특성과 가창 방법으로 보아 크게 세개의 분류권으로 구분되는데, 한적들노래는 섬진강 유역에서 여수시와 고흥으로 뻗어 내린 전남 동부지역의 '산아지 타령권'에 속한다.
고흥군 도덕면의 한적마을 들노래는 모찌기노래, 모심기노래, 논매기노래, 질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어 들노래 구성을 온전히 갖추고 있으며 음악적 면에서 육자배기권의 소리에 메나리권의 소리가 가미되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유모차 대여: 없음
신용카드: 없음
애완동물: 없음
문의 및 안내: 고흥군청 061-830-5114
전남 고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