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2002-04-30 수정 2017-05-11 조회 31688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홈페이지, 연락처, 이용정보, 위치(지도)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합니다.
국토공간상 한반도 동남단 해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육상 및 해상교통의 거점도시이다. 서쪽으로 경상북도 청도군, 남쪽은 양산시, 북쪽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접한다.
전체 면적은 1,058.2㎢이며 총 인구가 1,160,275명(2014년 5월 기준)에 이르고 4구1군이 있으며, 광역시청 소재지는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182(신정동 646-4번지)이다.
* 자연환경
동쪽에는 경주 토함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동대산맥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해발
1,000m 이상의 산지가 모여 형성된 천황산지가 남북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산은 동대산, 대운산, 취서산, 신불산, 간월산, 가지산, 무릉산, 남암산,
달천산, 문수산 등이 있다.
이들 산지에서 태화강과 동천이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 동해로 유입하고 시의 80%
이상이 이들 강의 수계내에 있어 시계가 자연적인 지역 경계와 거의 일치하고 있는데, 취성천이 그 예이다.
* 역사
고대 -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우시산국이라 하였고 신라때는 굴아화현이라 하였으며,
757년(경덕왕16) 하곡현으로 개칭하여 임관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 태조 때 임관군의 영현인 동진현과 동안군의 영현인 우풍현을 하곡현에 합쳐서 흥려부로 승격되었다. 그뒤 울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9) 방어사를 두고 헌양, 동래, 기장의 3현을 속현으로 삼았으며, 1143년(인종21) 헌양을 언양으로
고쳐서 감무를 두었고 동래도 현령을 두어 각각 분립시켰다.
조선 - 1413년(태종13년) 진을 폐지하고, 울산군으로 개칭하여 지군사를 두었다가
1598년(선조31) 울산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681년(숙종7) 하미면(지금의 장안면)을 기장현으로 이관하였다.
근대 - 1895년 울산부와 언양현을 다같이 군으로 개편하였으며 1906년 경주군의 남면을 편입하여 1914년 이를 두동, 두서 2개 면으로 나누었다. 1914년 언양군을 울산군에 합쳤으며 1931년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하였고, 1934년 동면이 방어진읍으로 승격하였다.
현대 - 1962년 울산읍의 울산군 승격에 따라 방어진읍, 대현면, 하상면과 농소면,
범서면, 청량면의 일부지역이 울산시로 편입되고 나머지 12개 면은 울주군으로 개편되었다.1991년 울주군이 울산시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울산시와 울산군이 통합되어 울산시가 되었다.1996년 12월 31일 울산광역시 설치등에 관한 법률공포로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다.
* 문화
문화제 - 매년 10월 첫째 주간에 개최되는 처용문화제가 있다. 1967년 “울산공업축제”로 시작된 처용문화제는 처용학술제, 처용맞이, 처용마당, 처용퍼레이드 그리고 2006년부터 개최된 월드뮤직(처용월드뮤직페스티벌)프로그램과 2012년부터 국비지원으로 시작된 “아시아 퍼시픽 뮤직 미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처용문화제는 처용과 각 프로그램 간의 융합을 통해 문화적 자원 교류와 이에 따른 시민화합형 축제로 반세기를 넘어선 울산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민속 - 지신밟기와 줄다리기 등을 들 수 있다.
흔히 매귀 혹은 매구라 불리는 지신밟기는 정초에 농악대가 동제당에 가서 고사를
지낸 뒤 마을 공동 우물에 가서 샘굿을 하고, 정월보름까지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문풀이, 성주풀이, 조왕풀이, 장독풀이, 곳간풀이, 마구풀이 등 축원을 하며 마당에서 판굿을 벌이는 것이다.
줄다리기는 두 편으로 나뉘어 거행하는데, 이 고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은 언양
줄다리기이다. 직동에서 장촌까지 산의 형국이 달아나는 용과 같기 때문에 줄을 걸어 달아나는 용을 만류하는 의도에서 시작 되었다는 언양 줄다리기는 해마다 고을이 편안하고 농사가 잘 되라는 기원도 담겨 있다.
이 밖에도 연날리기, 널뛰기, 윷놀이, 돈치기, 짱치기 등이 행해지고 있다.
동제 - 보편적으로 거목을 신체로 모시고 음력 정월 보름날 자정에 당산제 혹은 동제를 지낸다. 방어진과 일산진, 강동면과 서생면 일대의 어촌에서는 동제 이외에
특별히 몇년마다 별신굿을 지내기도 한다.
052-229-2000
울산광역시청 http://ulsan.go.kr
유모차 대여: 없음
신용카드: 없음
애완동물: 없음
문의 및 안내: 울산광역시청 052-120
울산광역시